전체 글(2862)
-
[밀린다 왕문경 공부] 7.수행(1)
ㅇ. 당신은 진리를 보았는가? [본문]밀린다왕 : 스님께서는 법(진리)를 보신 적이 있습니까? 나가세나 : 붓다의 제자들은 붓다의 가르침과 율법에 따라 살아 갈 뿐입니다. [해설]불교 계율에는 승려가 자신의 영적 성취를 드러내는 것을 금하는 규정이 있다고 한다. 계율 때문인지는 모르겠으나 자신의 경지가 어느 정도인지 명확하게 밝힌 불교 수행자는 보지 못한 것 같다. ㅇ. 몸은 소중한가? [본문]밀린다왕 : 스님, 출가 수행자에게 몸은 소중한 것입니까? 나가세나 : 그렇지 않습니다. 밀린다왕 : 소중하지 않은 것이라면 왜 당신들은 자양분을 공급하고 세심하게 신경을 씁니까? 나가세나 : 우리가 몸을 기르고 보살피는 것은 마치 상처에 약을 바르고 보살피는 것과 같습니다. 상처가 소중해서 그러는게[ 아니라, ..
2024.11.04 -
무욕(無欲)에 대한 가르침
무욕(無欲)에 대한 가르침 무욕인(無欲人)에 대한 가르침과 항상 만족할 수 있는 재치, 지성 및 지혜에 대한 가르침에 대해 귀를 기울이십시오. 아래 열거된 나의 간단한 설명은 경험에서 비롯된 쉬운 진언과 같으며, 단순한 약처럼 확실한 결과를 가져올 것입니다. 예리한 청자(聽者)는 내 말의 강한 약을 마셔야 합니다. 적절한 노력으로 모든 부정적인 자질은 사라지고 즉시 최상의 자질을 얻게 됩니다. 첫째, 모든 사람을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욕망이 없어지는 어려운 일을 하지 말라고 주의를 받습니다.그렇더라도 무욕을 포기해서는 안됩니다. 그대가 그것을 포기한다면, 그대의 지인과 그대를 아는 사람들과 함께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마음 속으로 취향과 호감이 생기는 여성들을 끊임없이 쳐다보지 마십시오...
2024.11.02 -
찾기를 포기하라(3)
질문자 : 선(禪) 수행 중에 저는 고요해 집니다. 하지만 그때 저의 안과 제 주위에 진행되고 있는 모든 것을 더욱 의식하게 되어 머리와 가슴에서 고통스러운 압박감을 느낍니다. 슈리 푼자 : 하지만 선수행 중 관찰자는 어떠한가? 관찰자를 관찰하라고 말하지 않는가! 관찰자를 관찰해야만 한다. 이제 관찰자를 관찰하라고 말하니 이것을 하기 위해 무슨 노력을 해야 하는가? 노력한다면, 보상과 결과들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그대의 얼굴을 내면으로 향해 관찰자를 대상이 되게 하라. 그리고 지고의 의식이 이 관찰자를 보게 하라. 이해하려 애쓴다해도, 이해가 되지 않을 것이다. 그대는 이것을 결코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이해는 주체와 대상 사이의 관계이다. 그대의 마음에서 대상을 지운다면 무엇을 이해할 수 있는가? ..
2024.11.01 -
영성지도자에게 주는 충고
영성지도자에게 주는 충고 화환(花環) 속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나뭇잎,꽃 과일, 씨앗,조개로 이루어진 화환들이 모두 하나의 실에 꿰어져 있습니다. 수정, 동전,나무구슬, 향료,보석, 편물, 그리고 상징적인 돌의 화환들이 있는데, 긴 장식용 실로 꿰어져 있습니다. 이 모든 장식물들은 실에 의해서 함께 연결되어 있습니다. 실이 없으면 모든 것이 흐트러져 버립니다. 마찬가지로 진아는 모든 존재 속에 뒤섞여 있지만, 이런 비유조차 완전하게 적절한 말은 아닙니다. 구슬은 모두 실과 함께 연결되어 있습니다. 실은 구슬의 가운데를 통과하지만, 진아는 모든 곳에 스며 있습니다. 이것은 누구나 직접 본 것입니다. 진아는 원래부터 신속한 운동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실(絲)은 생명에너지가 생물체의 움직임을 어떻..
2024.10.31 -
마음공부의 일상정진(4)
후에 혜가대사가 삼조 승찬스님을 만났는데 승찬스님이 말하기를, "제자의 몸에 풍병이 가득합니다. 화상께서는 죄를 참회해 주시기를 청하옵니다."라고 했습니다.죄를 참회하는 것이 참죄(懺罪)입니다. 병은 죄에서 오니까 참죄하면 낫는다고 참죄해주기를 원한 것입니다. 혜가 대사가 "죄를 가져오라. 너에게 참죄를 해주리라"라고 했습니다. 그 죄가 마음이고 병이 마음이에요. 죄는 자성이 없고 마음에서 일어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승찬스님이 조금 있다가 "죄를 찾아도 찾을 수가 없습니다."라고 했습니다. 그러자 혜가 대사가 "너에게 죄를 참회해 주어 마쳤느니라. "라고 했습니다. 똑같아요. 찾을 수 없는 그 마음이 나의 주인입니다. 찾을 수 없는 그 마음과 딱 만나는 것이 역대로 내려오는 마음공부의 전통입니다. 사..
2024.10.30 -
육체와 진아의 관계에 대하여
육체와 아트만의 관계에 대한 대한 이야기 육체 때문에 진아는 슬픔의 혼돈을 경험합니다. 진아는 육체와 공동으로 살아 갑니다. 만약 육체가 음식을 먹지 않으면, 진아는 육체와 함께 있지 않습니다. 진아가 없으면 육체 속에 생명 에너지가 없습니다. 만약 이 둘이 서로 분리되어 있으면 쓸모가 없습니다. 어떤 일이든 성취되는 것은 둘이 함께 있기 때문입니다. 몸 그 자체는 생명 에너지가 없고, 몸이 없는 진아는 어떤 물체도 들어 올릴 수 있는 능력이 없습니다. 꿈 속에서 먹는 밥은 배곺음을 채우지 못합니다. 진아는 몸 속에 계속 거주하면서 꿈의 상태 속에 들어가 있습니다. 잠이 든 동안에도 몸을 계속 긁적대는 일이 일어난다는 놀라운 사실을 보십시오. 육체는 영양가 있는 음식으로 인해 성장하고, 몸의 성장..
2024.10.29 -
자기 자부심에 스스로 속지 마시오
여러분은 진아, 곧 모든 몸 안의 거주자입니다. 우리는 모든 몸 안의 진아, 모든 몸 안의 실재입니다. 여러분은 실제로 모든 몸 안에 들어가지 않아도 그 몸들 안에 있습니다. 진아는 모든 몸 안에 거주하는 '나'의 느낌인데, 그 '나'는 영원히 자유롭습니다. 이런 식으로 '나'에 대해 명상하는 사람은 '나는 무소부재한 신이다'를 이해합니다. 3대신(브라마, 비슈누,시바)조차도 '나는 빠라마트만이다'를 제대로 이해하는 사람의 명을 거스르지 않습니다. 생물과 무생물들은 자신의 진아를 전능한 주(主) 이스와라로 인식하는 사람의 명에 따라야 합니다. 그가 곧 나 자신임을 깨달을 때, 그 사람은 모두를 자신의 명에 복중시킬 수 있을 만큼 강력해 집니다. 이제 다섯가지 싯디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만일 어떤 ..
2024.10.28 -
행위자는 누구인가?
행위자에 대한 설명 강의를 듣고 있던 사람이 연사(演士)에게 묻습니다. " 행위자는 누구입니까?. 누가 이 눈에 보이는 세계와 우주를 창조했습니까? 확실한 대답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나서 그 모임에서 지식을 가진 사람들이 차례대로 말하기 시작했습니다. 청자(聽者)들은 그들의 말을 조용히 경청해주시기 바랍니다. 어떤 이들은 "신(神)이 행위자"라고 말했고, 어떤 이들은 "신이 누구입니까?"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모든 사람들이 각자가 자신의 의견을 계속 발표했습니다. 모든 사람들은 자신의 신념이 우월하다고 생각했고, 자신의 감정에 따라 어떤 믿음이 최고인지, 중간인지, 낮은 지에 대하여 자기 견해를 피력했습니다. (아랫줄 문장부터 시작해서 26줄 문장까지는 다양한 인도 힌두교 신(神)..
2024.10.26 -
[경봉스님 법문] 열 가지 큰 원력(3)
예전 당나라에 배휴(裴休)라는 사람이 있었다. 쌍둥이로 등이 맞붙은 기형아로 태어나서 부모가 칼로 등을 갈라 약을 바르고 치료를 해서 키웠는데, 살이 많이 붙은 아이는 형이 되고, 적게 붙은 아이는 동생이 되었다. 형의 이름은 도(度)라 부르고 동생도 도(度)라 썼는데 글자는 같지만 음이 틀리다. 형 도(度)는 법도를 말하는 도(度)라 하고 동생은 헤아릴 때 말하는 탁(度)이라고 불렀다. 휴(休)는 어릴 때 형인 배도의 장성한 후 지은 이름이다. 어려서 조실부모하고 형인 도는 외삼촌 한테 몸을 의탁하고 있었고, 동생 탁은 어디로인지 혼자 떠나 소식을 알 수 없었다. 어느 날 일행선사(一行禪師)라는 도덕(道德)이 높은 스님이 오셔서 외삼촌과 말씀을 하시는데,배휴가 문밖에서 자기 이야기하는 것을 지나치다 ..
2024.10.25 -
경험하는 것에 대한 이야기
경험에 대한 이야기 하늘은 순수하고 고요하며 겉모습이 없다고 묘사됩니다. 하늘은 모든 곳에 펼쳐져 있는 넓은 공간을 의미합니다. 먼저 공간이 있고, 그 다음에 물체가 옵니다. 체험으로 보는 것은 올바르게 보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제 체험이 없다면, 어떤 것도 올바르게 이해되지 않습니다. 브라흐만은 움직이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아(아트만,大我)는 움직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바람의 비유를 사용하여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역자註 : 여기서 자아(自我)는 대아(大我,아트만)를 말합니다. 베단타에서는 자아(自我)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첫번째 자아인 진아(眞我)는 최고 자아인 파라브라흐만,불교에서 말하는 무아(無我)와 같은 의미이며, 두번째 자아는 대아(大我)로써 아뜨만 또는 시바(Shiva)..
2024.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