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경 십지품 공부(18)

2020. 9. 17. 22:53성인들 가르침/화엄경

16) 게송으로 그 뜻을 거듭 설하다

(1) 환희지에 머무는 뜻

 

[본문]

그때에 금강장 보살이 그 뜻을 다시 펴려고 게송으로 설하였다. 

 

若人集衆善(야인집중선)하야  具足白淨법(구족백정법)하면

供養天人尊(공양천인존)하야  隨順慈悲道(수순자비도)니라

 

민약 어떤 사람이 여러 가지 선행을 닦아

청정한 법을 구족하면

천신과 인간의 어른께 공양하여 

자비의 길을 수순하리라. 

 

[해설]​

제 1환희지에 대한 장문으로서의 설법은 끝나고 게송으로 거듭 밝힌다. 

청정하고 훌륭한 법을 구족하려면 여러 가지 선행을 닦아 익히는 것밖에 없다. 

여러 가지 선행을 닦아 익히면 천신이나 사람들에게서 가장 높으신 어른, 

즉 부처님을 공양하고 공경하며 존중하고 찬탄해서 자비의 길을 수순함이 되리라.

 

[본문]

信解極廣大(신해극광대)하고   志樂亦淸淨(지락역청정)하야

爲求佛智慧(위구불지혜)하야   發此無上心(발차무상심)이로다

 

믿음과 이해가 지극히 광대하고

마음에 좋아함도 또한 청정하여

부처님 지혜 구하려고

가장 높고 높은 마음 발하였도다.  

 

[해설]

환희지에 머문 보살은 믿음과 이해와 마음으로 추구하는 의지가 모두 광대하고 훌륭하다. 

그것으로 궁극에는 부처님의 지혜를 구하여 부처님처럼 산다. 

그것은 참으로 가장 높고 고귀한 마음이다.

 

[본문]

淨一切智力(정일체지력)과       及以無所畏(급이무소외)하야

成就諸佛法(성취제불법)하며     救攝郡生衆(구섭군생중)이로다

 

일체 지혜의 힘과 

두려움 없음을 청정하게 닦아 

모든 부처님의 법 성취하며

온갖 중생들을 구제하도다.

 

[해설]

보살이 환희지에 머물면서 일체 지혜와 네 가지 두려움 없음을 청정하게 잘 닦아서 끝내는 모든 부처님의 법을 다 성취하고 나아가서 일체 중생을 모두 제도한다. 이것은 횐희지 보살 뿐 아니라 모든 보살의 원력이며 꿈이다. 

 

[본문]

爲得大慈悲(위득대자비)하고     及轉勝法輪(급전승법룬)하며

嚴淨佛國土(엄정불국토)하야     發此最勝心(발차최승심)이로다.

큰 자비를 얻고 

수숭한 법륜을 굴리며 

불국토를 청정하게 하려고 

가장 수승한 마음을 내도다. 

 

[해설]

또 환희지에 머문 보살은 중생을 가르치고 교화하기 위해서 큰 자비심을 일으켜 수많은 불법 중에서도 가장 수승한 법을 설해 준다. 가장 수승한 법을 설하는 것은 설하는 사람에게도 복이 되고, 설법을 듣는 사람도 큰 혜택을 입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세상을 조금이라도 정직하고 선량하게 해서 살기 좋은 곳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마음이야말로 가장 수숭한 마음이다 

 

[본문]

一念知三世(일념지삼세)호대      而貿有分別(이무유분별)하야

種種時不同(종종시부동)을        以示於世間(이시어세간)이로다.

한 생각에 과거 현재 미래를 알되

알면서도 아무런 분별이 없고

가지가지 시간이 같지 않음을 

세상 사람들에게 보여 주도다. 

 

[해설]

화엄경에서 시간에 대해서는 한순간이 곧 한량없는 겁이고 겁이 곧 한순간이다. 

또한 과거와 현재와 미래에 각각 과거와 현재와 미래가 있다. 

그리고 앞에 나타난 일념과 같이 구세(九世)와 십세(十世)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한다.

 

[본문]

略說求諸佛(약설구제불)의    一切勝功德(일체승공덕)하야

發生廣大心(발생광대심)하니  量等虛空界(양등허공계)로다.

간략히 말하면 모든 부처님이

일체 수승한 공덕을 구하려고

광대한 마음을 내었으니

그 양이 허공계와 평등하도다.

 

[해설]

불법을 공부하는 것은 자신의 내면에 본래로 갖춰져 있는 부처님의 일체 수승한 공덕을 구하기 위함이다. 

부처님의 일체 수승한 공덕을 구하려면 저 허공계와 같은 광대한 마음을 내어야 가능하다. 

 

[본문]

悲先慧爲主(비선혜위주)하야        方便共相應(방편공상을)하며

信解淸淨심(신해청정심)은          如來無量力(여래무량력)이로다

자비가 선도하고 지혜가 으뜸이 되어 

방편들과 함께 상응하며

믿고 아는 청정한 마음은

여래의 한량없는 힘이로다. 

 

[해설]

불교는 자비와 지혜와 교화하는 방편과 믿고 이해하는 청정한 마음이 합해져 여래의 한량없는 힘이 된 것이다. 

 

[본문]

無礙智現前(무애지현전)에        自悟不由他(자오불유타)라

具足同如來(고족동여래)하야     發此最勝心(발차최승심)이로다. 

걸림이 없는 지혜가 앞에 나타남은 

스스로 깨닫고 남을 인함이 아니로다

본래 구족한 것이 여래와 같이

이러한 가장 수승한 마음을 내었도다. 

 

[해설]

불법을 수행하는 것은 자신에게 본래로 갖추고 있는 걸림없는 지혜를 나타내기 위함이다. 

스스로 깨닫는 것이요, 결코 다른 사람으로 인해서 깨닫는 것이 아니다. 

걸림없는 지혜를 본래 구족한 것이 곧 여래가 정각을 이룬 뒤 드러난 그 지혜와 동일하다. 

이러한 이해는 실로 가장 수숭한 마음을 낸 것이다. 

 

[본문]

佛子始發生(불자시발생)        如是妙寶心(여시묘보심)하면

則超凡夫位(즉초범부위)하야   入佛所行處(입불소행처)로다.

불자들이 처음으로 

이와 같은 미묘한 보배 마음 낼 적에

범부의 지위를 초월하여

부처의 행한 곳에 들어갔도다. 

 

[해설]​

깨달음을 위하여 처음 마음을 발하였을 때에 이미 정각을 이루었다고 하였다. 

그 처음 낸 마음은 참으로 미묘한 마음이며 보배 마음이다. 

그 마음은 이미 범부의 지위를 초월하였다. 

그대로가 부처님이 행하신 바로 그 경지에 들어간 것이다. 

그래서 화엄경에 초발심 공덕에 대한 매우 장황한 설법이 있다. 

 

[본문]

生在如來家(생재여래가)에     種族無瑕玷(종족무하점)하며

輿佛共平等(여불공평등)하야   決成無上覺(결성무상각)이로다.

여래의 가문에 태어나서

그 종족에는 아무런 허물이 없고

부처님과 평등하게

가장 높은 깨달음을 이루리라. 

 

[해설]

환희지에 머문 보살은 이미 여래의 가문에 태어나서 그 종족에는 아무런 허물이 없고 

부처님과 평등하게 가장 높은 깨달음을 이루게 된다. 

여래의 가문이란 세속적인 김씨나 이씨나 박씨와 같은 그런 가문이 아니다. 

불법에 의해서 불법의 마음으로 불법의 삶을 사는 사람을 말한다. 

 

[본문]

纔生如是心(재생여시심)에    卽得入初地(즉득입초지)하야

志樂不可動(지락불가동)이    譬如大山王(비여대산왕)이로다.

이와 같은 마음을 겨우 내고는

곧 초지 중에 들어가서

그 뜻의 즐거움을 움직일 수 없는 것이 

비유컨대 수미산과 같도다. 

 

[해설]

환희지에 머물면 불법의 즐거움을 움직일 수 없다. 

마치 저 수미산을 그 누구도 움직일 수 없는 것과 같다. 

불자라면 환희지는 모른다 하더라도 화엄경과 깊은 인연을 맺어서 태산부동의 신심을 가져야 한다 

화엄경을 공부했을 때 비로소 불자가 되기 때문이다. 

 

                                        -무비스님 저<대방광불 화엄경 강설>-

 

 

 

 

 

 

 

'성인들 가르침 > 화엄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엄경 십지품 공부(20)  (0) 2020.10.26
화엄경 십지품 공부(19)  (0) 2020.10.05
화엄경 십지품 공부(17)  (0) 2020.09.01
화엄경 십지품 공부(16)  (0) 2020.07.29
화엄경 십지품 공부(15)  (0) 2020.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