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선사 금강경 강의(22)
無法可得分(무법가득분) 第二十二
[본문]
須菩提(수보리) 白佛言(백불언)하사대 世尊(세존)이시여 佛(불)이 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爲無所得耶(위무소득야)이니까 佛言(불언)하사대 如是如是(여시여시)니라 須菩提(수보리)야 我於阿耨多羅三藐三菩提(아어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乃至無有所法可得(내지무유소법가득)일새 是名阿耨多羅三藐三菩提(시명아뇩다라삼먁삼보리)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루어 말하되,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으심은 얻은바 없음이 되나이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사대 그렇다. 그렇다. 수보리야. 내가 아녹다라삼먁삼보리에,내지, 작은 밥이라도 가히 얻음이 없었을새, 이, 이름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이니라.
[해설]
위에서 중생이 아니고, 중생 아님도 아니라는 말씀은,
둘이 다 중생이고 둘이 다 부처라는 말씀이시니,
말하자면 부처와 중생이 부처인 중생과 중생인 부처이니 오직 하나임을 밝히시고,
이 대문에 와서 수보리는 다시 묻기를,
그러면, 부처님께서 얻으신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얻은바가 없기 때문입니까,
한즉, 부처님께서는 수보리의 묻는 말을 옳다고 긍정하시었다.
독자여 ! 그러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어떻게 성취하였을까,
위에서몇 번 말하였거니와, 불법은 말이 아니고, 문자가 아니고, 철학도 아니고 종교도 아닌 것이다.
그러므로 있다, 없다, 아니다, 기다 함이 다 거짓이다.
말이나 문자나 명사를 따라다니다가는,
백천겁을 불교에 몸을 받칠지라도 불법과는 거리가 십만팔천리로 멀어지는 것을 알아야 한다.
알아도 아는 것이 없이 알고, 얻어도 얻는 것이 없이 얻는 것이 불법이니,
작은 법을 즐기는 자들은 항시 상(相)에서만 취하려고 애를 쓰는 것이다.
-해안 선사 강의 <금강반야바라밀경>-